본문 바로가기
국가기술자격증/국토교통부

건축도장기능사 실기 시험 그리고 취업 정보

by 도봉도봉 2024. 2. 6.
반응형

건축도장기능사는 실기시험으로만 취득 할 수 있는 자격증이라서 그런지 40대부터 50대 연령대가 많이 응시하고
취득하고 있다. 시험 준비 방법과 관련 뉴스를 조사를 해서 건축 도장기능사의 모든 정보를 조사해서 정리해봤다.

 

 


순서
1. 건축도장기능사 전망
2. 시험 난이도

3. 방수기능사와 차이점
4. 시험정보
5. 공부방법

6. 취업정보
7. 관련뉴스
8. 결론

 


1. 건축도장기능사 전망


건축도장기능사 자격증은 최근 몇 년 동안 주목받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상위 5개 종목에 들지 못했지만, 2022년에는 50대 이상이 가장 많이 취득한 종목 중 여성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한식조리기능사와 같은 다른 자격증에 비해 시간 투자가 적고 임금이 적절하며, 필기시험 없이 실기시험만으로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면 소규모 건축공사장에서 현장관리로 취직할 수 있으며, 다른 국가시험에 도전할 때 가산점으로 적용되며, 전문건설업 면허를 취득하는데 인적요건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출처 큐넷 : 연령별 응시자 통계

 2. 시험 난이도

건축도장기능사 시험은 실기 시험이 주를 이루며, 이는 내용이 비교적 간단하고 며칠 안에 준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이 이 시험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학원을 다니게 되면 실기 연습에 비용이 들 수 있어, 독학을 고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시험은 준비물이 많고, 준비물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학원을 다니며 실기 공부를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추천되지만, 독학을 원하는 사람들은 실기 학원이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필요한 준비물을 구매하고, 집에서 영상을 보며 연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험의 난이도는 중간 정도로 평가됩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10명 중 5명이 합격하는 50%의 합격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상, 중, 하로 난이도를 구분할 때 ‘중’ 수준에 해당합니다. 더 어려운 시험의 경우, 10명 중 3명만이 합격합니다. 건축도장기능사 시험은 실기 작업형으로, 집중해서 연습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시험입니다.


3. 방수기능사와 차이점

방수기능사의 차이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건축도장기능사와 방수기능사는 모두 건설업에 필요한 자격증이지만, 그들이 수행하는 작업은 다릅니다. 건축도장기능사는 건물의 외부와 내부 표면, 장식물에 페인트나 바니시 등을 칠하여 건물과 장식물을 보호하고 장식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반면에, 방수기능사는 건축 구조물의 지하층, 지붕, 실내 바닥, 벽체에 모르타르, 아스팔트 등의 각종 방수재료를 바르거나 도포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4. 시험정보

  • 시험내용
    구분 시험과목 시험방법
    문제형식 시험시간
    실기시험 건축도장작업 작업형 약 6시간
  • 시험 준비물
    NO 재료명 규격 수량 비고
    1 평붓(수성용) 75mm, 30mm 2EA 규격별 필요량
    2 평붓(래커용) 60mm, 10mm 2EA 규격별 필요량
    3 그림붓 2호 5호 3EA 규격별 필요량
    4 종이테이프 폭 10mm 1EA 규격별 필요량
    5 필기구 연필, 볼펜 1EA 규격별 필요량
    6 빈통 1L, 0.5L 3EA 규격별 필요량 (종이컵도 가능)
    7 퍼티용판 정판 30cm 1EA 규격별 필요량
    8 주걱(나무또는플라스틱) 퍼티용 1EA 규격별 필요량
    9 철제자 1000mm 1EA 규격별 필요량
    10 삼각자 30cm 1EA 규격별 필요량
    11 걸레 3EA 규격별 필요량
    12 헤어드라이어 중형 220V 1EA 1인1대(소비전력1,800W이하)
    13 신문지   10장 필요량
    14 교반봉 소독저 10EA 규격별 필요량(나무젓가락 가능)
    15 사무용 1EA 규격별 필요량
    16 방진마스크 산업안전용 1EA 규격별 필요량
    17 컴퍼스 제도용 1EA 규격별 필요량
    18 2구 콘센트 220V, 5m정도 1EA 헤어드라이기(건조)
    연결용 전기선 포함
    수험자는 공개된 과제를 확인하고 작업에 필요한 모든 규격의 공구와 수량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헤어드라이어는 추가 수량 사용이 불가하며,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지급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공구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화재 위험이 있는 열풍기는 사용이 불가하지만, 소비전력이 1,800W 이하이고 바람의 최대 온도가 80℃ 이하인 제품은 사용 가능합니다.

  • 응시료 
    실기시험 : 75,500원

  • 시험일정
    2024년 정기 기능사 시험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회
    실기원서접수: 2024.02.05 ~ 2024.02.08
    실기시험: 2024.03.16 ~ 2024.04.02
    합격자 발표: 2024.04.09

    2회
    실기원서접수: 2024.04.23 ~ 2024.04.26
    실기시험: 2024.06.01 ~ 2024.06.16
    합격자 발표: 2024.06.26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실기원서접수: 2024.05.21 ~ 2024.05.24
    실기시험: 2024.06.16 ~ 2024.06.21
    합격자 발표일: 2024.07.03

    3회
    실기원서접수: 2024.07.16 ~ 2024.07.19
    실기시험: 2024.08.17 ~ 2024.09.03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09.11

    4회
    실기원서접수: 2024.09.30 ~ 2024.10.04
    실기시험: 2024.11.09 ~ 2024.11.24
    합격자 발표일: 2024.12.04

5. 공부 방법

 

시험을 효율적으로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실기시험 대비 실기시험 준비는 실제 재료를 사용하여 도장 연습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까운 학원을 선택하여 등록하고, 시험장소와 수업장소가 같거나 강사가 시험 관리인으로 들어오는 곳이라면 더욱 좋습니다.

  • 영상 학습 유튜브 영상을 통한 이미지 트레이닝도 큰 도움이 됩니다. "건축도장기능사 실기"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많은 영상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조회수나 최신순으로 알맞은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하면 좋습니다.

  • 독학 독학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유튜브 검색을 통해 관련 독학 취득 후기나 팁을 찾아보고, 필요한 도구들을 직접 구매하여 집에서 충분히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실습과 시간 관리 실습에서는 조색, 연마, 정해진 도안에 따라 문자, 도형을 그리는 작업을 합니다. 시험시간이 6시간 정도로 길어 체력소모가 많으므로, 컨디션을 잘 조절하고 시간 분배를 잘 해야 합니다. 실수를 하더라도 프로페셔널한 자세를 유지하며 긴장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격 사유 숙지 실격 사유를 철저하게 숙지하고 시험에 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격만 당하지 않아도 합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격 사항은 아래 건축도장기능사(공개문제) 첨부 파일에서 확인 하시면 됩니다.

  • 공정별 작업 도면에 주어진 요구사항에 맞게 공정별로 작업을 해야 합니다. 순서가 뒤바뀌거나 해야하는 과정을 건너뛰면 실격 혹은 탈락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 조색 페인트를 다 조색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흰색, 검정색, 빨강색, 노랑색, 파랑색 총 5가지의 색을 주는데 시험시 나눠주는 조색견본을 보고 그 색깔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색이 현저하게 차이가 날 경우 오작으로 실격되니 연습이 필요합니다.

  • 집중력 유지 과제가 어렵지는 않으나 시험 시간이 6시간 정도로 길다 보니 집중력이 상당히 요구됩니다. 문제의 의도와 작업과정을 완전히 이해한 후 시험장에서 집중력을 유지해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난해부터 조색과 도형이 많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3가지 이상의 재료를 섞어서 색을 내야하는 조색과정, 4가지 유형(시험 당일 감독관이 지정해주는 도면)으로 되어있는 도형 부분은 시험 전에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축도장기능사(공개문제).pdf
0.16MB

6. 취업 정보

  • 채용 정보 및 연봉
    건축도장기능사는 건설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직업군입니다. 2024년 2월 기준으로 워크넷에는 건축도장기능사에 대한 채용 정보가 약 117건 게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상당히 많은 수의 채용 건수는 아니지만, 건축도장기능사 자격증을 우대하는 기업들이 있으며, 특히 50-60대도 환영하는 채용 공고도 있습니다. 월급은 기업, 경력, 지역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월 250~300만원 수준입니다.

 

출처 워크넷

 

  • 업무 내용
    자격증을 취득하면 일반적으로 도장공으로 취업합니다. 노후 건물의 신축과 리모델링으로 인해 도장공의 수요는 꾸준합니다. 인테리어 업체에서 일할 경우, 초봉은 월 230만원 정도입니다. 그러나, 도장공의 일은 일용직이 많으며, 전문 건설업체나 하도급자의 의뢰에 따라 일을 합니다. 건설 현장에서 도장공의 일당은 보통 15만~25만원 수준이며, 3~5년의 경력을 쌓아야 숙련공이 될 수 있습니다.

  • 진로
    건축도장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건설업 종사 경력 918일 이상이면 건설경력기술자 등급(초급 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30억까지의 공사 현장에서 현장 대리인(현장 소장)으로 배치되어 현장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장공사업이나 페인트 상회, 실내 건축공사업 면허를 내고 건설업을 창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교육기관, 지정검사기관으로 지정신청받기 위한 기술인력, 승강기 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승강기 보수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7. 관련뉴스

출처 네이버뉴스

기사 요약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023년 4분기 '자격 Q’를 발간했습니다. 이 가이드북은 사회 주요 이슈와 관련된 국가기술자격 종목을 분기별로 선정해 응시현황과 취득 방법, 고용 전망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건축분야 총 29개 종목이 선정되었습니다.

공단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5년 간 자격시험 응시 현황을 분석한 결과, 건축분야 응시는 42.2% 증가했습니다. 응시 인원이 가장 많았던 분야는 실내건축이었고, 그중에서도 건축도장기능사가 가장 인기가 높았습니다.

응시 인원이 급상승한 분야는 건축설비로, 2018년 8040명에서 2022년 2만 7568명으로 연평균 36.1% 증가했습니다. 특히 건축설비기사는 연평균 42.6%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공단은 지난해 건축 분야 자격시험 접수 인원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도 발표했습니다. 응시자 중 36.9%는 재직자, 20.5%는 구직자, 12.8%는 학생이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73.5%, 여성이 26.5%였습니다. 연령대로는 20대가 가장 높았고, 응시목적은 취업이 가장 높았습니다.



 




8. 결론

건축도장기능사는 건설 현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건축 관련 자격증을 두루 갖춘 50대 이상의 재취업 성공률이 높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다양한 진로와 자격이 부여되어, 건설업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