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던 회사 동료가, 협심증 진단 후 바스티난정을 복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름도 생소했던 이 약이 혈관 건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복용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몰라서 걱정이 많았는데요. 이 글에서는 협심증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바스티난정의 효능, 복용법, 부작용, 주의사항까지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립니다.

🔹 1. 제품 개요
- 제품명: 바스티난정 (트리메타지딘염산염)
- 성분: 트리메타지딘염산염 20mg / 1정
- 제조사: 한국세르비에(주)
- 전문의약품 여부: 전문의약품
- 허가일: 2008년 8월 19일
- 제형 및 성상: 주홍색의 필름코팅 원형정제
- 보관 방법: 기밀용기, 실온(1~30℃) 보관
- 포장 단위: 90정(15정/PTP x 6), 1,000정/병
- 보험 약가: 77원 (1정 기준, 2017.02.01 기준)
- 식별표시: BK090020 (6.0mm x 6.0mm x 3.5mm)
- 첨가제 주의성분: 황색5호 알루미늄레이크 (알레르기 유발 가능)
🔹 2. 효능 및 작용 기전
✅ 주요 효능
바스티난정은 심장의 세포 내 에너지 대사를 개선하여 산소 공급이 부족한 심근(심장 근육)의 기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는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흉통 증상의 빈도와 강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작용 기전 요약
트리메타지딘은 심근세포 내에서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고, 포도당 대사를 촉진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세포 기능을 유지시킵니다.
이로 인해 산소 소비가 적은 상태에서도 심장이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3. 적응증 (사용 가능한 질환)
📌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
- 바스티난정은 1차 항협심증 치료로 조절되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는 환자에서 추가적인 증상 조절을 위해 병용요법으로 사용됩니다.
- 협심증은 심장 근육에 혈류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가슴 통증(흉통)이 발생하는 상태이며,
특히 안정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를 ‘안정형 협심증’이라고 합니다. - 바스티난정은 발작 자체를 치료하지는 않지만, 흉통의 빈도와 강도를 감소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주의:
-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급성 심장질환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4. 용법 및 용량
✅ 일반 성인 복용법
- 1일 3회,
- 1회 20mg씩 (총 1일 60mg),
- 아침, 점심, 저녁 식사와 함께 복용합니다.
✅ 신장애 환자(중등도,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 30~60 mL/min)
- 1일 2회,
- 1회 20mg씩,
- 아침과 저녁 식사 시 복용합니다.
⚠️ 고령자 주의
- 75세 이상 고령자는 신기능 저하 가능성이 있어 감량 또는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 용량 증가 시 특히 어지럼증, 저혈압, 낙상 위험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 복용 시 유의사항
- 식사 시 복용해야 위장 장애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절대 과량 복용을 피해야 하며,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복용 중단 후 의료진과 상담하세요.

🔹 5. 부작용 및 주의사항
🚨 대표적인 부작용
분류 증상 발현 빈도
신경계 | 어지러움, 두통, 졸림, 수면장애 | 흔하게 ~ 드물게 |
운동장애 | 파킨슨 증상(진전, 운동불능, 긴장항진), 보행불안정, 하지불안증후군 | 알려지지 않음 |
심혈관계 | 심계항진, 빈맥, 기립성 저혈압, 홍조 | 드물게 |
소화기계 | 복통, 설사, 소화불량, 오심, 구토 | 흔하게 |
피부 |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 | 흔하게 |
기타 | 무력감, 혈소판감소증, 간염 | 드물게 ~ 매우 드물게 |
⚠️ 투여 금지 대상 (절대 금기)
- 트리메타지딘 또는 구성 성분 과민증 환자
- 파킨슨병 및 파킨슨증상 환자
- 진전, 하지불안증후군 등 운동장애 환자
- 중증 신장애 환자 (CrCl < 30mL/min)
⚠️ 주의해야 할 환자군
- 중등도 신장애 환자
- 75세 이상 고령자
- 황색5호(선셋옐로우) 알레르기 병력자
💡 트리메타지딘은 파킨슨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상 징후 시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신경과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특히 주의할 증상
- 운동장애: 진전, 보행불안정, 하지불안증후군 발생 시 즉시 약물 중단
- 어지럼증 및 낙상 위험: 특히 항고혈압약 복용 중인 환자나 고령자
- 과민반응: 급성 전신 발진, 혈관부종, 두드러기 발생 가능
🔹 6. 약물 상호작용
⚠️ 중요한 약물 상호작용 주의사항
- 파킨슨병 치료제와의 상호작용 가능성
트리메타지딘은 파킨슨증상(진전, 강직, 운동 저하 등)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레보도파, 브로모크립틴, 프라미펙솔, 로피니롤 등의 도파민 작용제와 병용 시 부작용 증가 가능성이 있습니다.
→ 운동 이상 반응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항고혈압제 복용 중 낙상 위험 증가
트리메타지딘은 기립성 저혈압,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칼슘채널차단제, 베타차단제, 이뇨제 등과 함께 복용 시 혈압 강하 작용이 과도해질 수 있음
→ 낙상 사고 및 실신 위험 증가 - 운전·기계조작에 영향을 주는 약물과 병용 시
졸림, 어지러움 등의 신경계 이상반응 가능성이 있는 약물(예: 항히스타민제, 수면제, 항불안제)과 함께 복용 시
→ 집중력 저하와 졸음이 심화될 수 있어 병용에 주의

💡 실생활 예시
- 사례 1: 고혈압과 협심증을 모두 앓고 있는 78세 고령 환자가 트리메타지딘을 복용한 후
기립성 어지럼증으로 넘어짐 → 항고혈압약과의 상호작용 가능성 - 사례 2: 파킨슨 치료 중인 환자가 협심증 증상 완화를 위해 트리메타지딘을 복용했다가
진전 악화 및 보행불안정 발생 → 도파민계 약물과의 상호작용 우려
✅ 복용 중인 모든 약물(특히 신경계, 심혈관계 약물)을 의료진에게 반드시 알리고, 병용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세요.
🔹 7. 임부 및 수유부 사용
👩⚕️ 임산부 복용 시 주의사항
- 트리메타지딘에 대한 사람 대상 임신 중 복용 안전성 자료는 충분하지 않음
- 동물 실험에서는 생식 독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예방적 관점에서 임신 중 복용은 피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특히 임신 초기(1기)에는 복용을 삼가야 하며,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 수유부 복용 시 주의사항
- 트리메타지딘이 모유로 배출되는지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이므로 수유 중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수유 중이라면,
→ 약 복용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수유를 중단하거나,
→ 대체 약물로 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꼭 기억하세요
상황 권장 사항
임신 계획 또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 |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상의 |
임신 중 (특히 초기) | 복용 피함. 위험 대비 이익 고려 필요 |
수유 중 | 복용 시 수유 일시 중단 권고 |
✅ 임신 중, 수유 중 약물 복용은 태아 및 신생아에게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복용 전 반드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 8. 보관 및 취급 방법
✅ 보관 온도:
- 실온(1~30℃)에서 보관하세요.
✅ 용기 유형:
- 기밀용기에 보관해야 하며, 습기나 직사광선을 피해야 합니다.
✅ 유효기간:
- 제조일로부터 36개월입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약은 절대 복용하지 마세요.
✅ 어린이 손에 닿지 않도록 보관:
- 특히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안전한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 폐기 시 주의사항:
- 약이 남았거나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 일반 쓰레기에 버리지 말고
약국이나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의약품 수거함에 안전하게 폐기하세요.

🔹 9. 결론 – 바스티난정 복용 시 꼭 알아야 할 점
✔ 협심증의 증상 완화에 사용하는 보조 치료제
– 발작 치료나 응급치료 목적이 아니므로 단독으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파킨슨병, 운동장애 환자 금기
– 중추신경계 이상반응 가능성으로 반드시 금기사항 확인 필요.
✔ 75세 이상 고령자, 신장애 환자 복용 시 용량 조절 필수
– 신기능 저하에 따른 약물 축적 위험성 고려.
✔ 운전 및 기계 조작 시 주의
– 어지러움과 졸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계 조작 업무 시 주의하세요.
✔ 복용 중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복용 중단 및 전문가 상담
– 특히 보행 불안정, 진전, 수면장애 등이 나타나면 신경과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임산부·수유부는 복용 전 반드시 의사 상담
– 임신 중 예방적 차원에서 복용 금지 권장, 수유 중 복용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 내용은 의약품안전나라 바스티난정 정보를 근거로 작성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