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치료에는 여러 종류의 약물이 사용되며, 각 약물군은 작용 방식과 효과, 부작용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응증과 금기증이 다르며, 한 가지 약물로 혈압 조절이 어려운 경우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혈압 약의 종류와 기전, 부작용 및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최적의 병용 요법을 분석하겠습니다.
1. 고혈압 약의 종류와 특징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주로 이뇨제, 베타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칼슘 채널 차단제(CCB) 등의 약물군으로 나뉩니다.
① 이뇨제(Diuretics)
작용 기전: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을 배출시켜 혈압을 낮춤
- 티아지드계: (예: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클로르탈리돈) 원위 세뇨관에서 Na⁺ 재흡수를 차단하여 혈압을 감소
- 루프계: (예: 푸로세미드, 토르세미드) 헨레고리에서 강력한 이뇨 효과
- 칼륨보존성: (예: 스피로놀락톤) 나트륨 배출을 돕지만 칼륨은 보존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탈수, 고요산혈증(통풍 악화), 저혈압
적응증: 일반적인 1차 치료제로 사용, 심부전이나 부종 치료에 추가 사용
금기증: 중증 신부전(소변 배출 불가능), 고칼륨혈증
② 베타 차단제(Beta-blockers)
작용 기전: 심장 베타₁ 수용체 차단 → 심박수 감소 → 심박출량 감소
- 심장 선택적: (예: 메토프로롤, 아테놀롤)
- 비선택적: (예: 프로프라놀롤) → 기관지 베타₂도 차단하여 천식 환자에게 주의 필요
부작용: 서맥, 피로, 말초냉증, 발기부전, 수면장애
적응증: 심근경색 후, 협심증, 부정맥, 심부전 환자에 유용
금기증: 천식/COPD 환자, 2·3도 방실차단, 저혈압
③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
작용 기전: 안지오텐신 II 생성 억제 → 혈관 확장 및 나트륨 배출 증가
- (예: 리시노프릴, 엔알라프릴, 라미프릴)
부작용: 마른기침(브래디키닌 증가), 고칼륨혈증, 저혈압, 드물게 혈관부종
적응증: 당뇨 및 단백뇨 동반 신질환, 심부전, 심근경색 후 치료
금기증: 임부 금기, 신동맥 협착 환자, 혈관부종 병력
④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작용 기전: 안지오텐신 II가 AT₁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여 혈관 수축 억제
- (예: 로사르탄, 발사르탄, 텔미사르탄)
부작용: ACEi와 유사하지만 마른기침이 적음, 고칼륨혈증, 혈관부종 가능
적응증: ACEi 대체제, 신장 보호 효과(당뇨, 신질환)
금기증: 임부 금기, 고칼륨혈증, 신동맥 협착 환자
⑤ 칼슘 채널 차단제(CCB)
작용 기전: 칼슘 유입 차단으로 혈관 평활근 이완
- DHP계: (예: 암로디핀, 니페디핀) → 주로 혈관 확장
- 비DHP계: (예: 베라파밀, 딜티아젬) → 심장 박동 감소
부작용: DHP계(부종, 두통, 홍조), 비DHP계(서맥, 변비)
적응증: 1차 치료제, 노인 및 흑인에서 효과적, 협심증 치료
금기증: 심부전(비DHP계), 고도 방실차단
2. 혈압약 병용 요법 및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
① 왜 병용 요법이 필요한가?
- 한 가지 약물로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두 가지 이상의 기전이 다르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음
② 최신 가이드라인에서 추천하는 병용 요법
- 1차 병용:
- ACEi 또는 ARB + CCB (예: 발사르탄 + 암로디핀)
- ACEi 또는 ARB + 티아지드 이뇨제 (예: 로사르탄 + HCTZ)
- 2차 병용:
- ACEi 또는 ARB + CCB + 티아지드 이뇨제
- (예: 발사르탄 + 암로디핀 + HCTZ)
- 3차 병용(저항성 고혈압)
- 위 조합 + 스피로놀락톤 추가
③ 병용하면 안 되는 조합
- ACEi + ARB → 신부전 위험 증가
- 베타차단제 + 비DHP CCB(베라파밀, 딜티아젬) → 심박수 저하 위험
3. 결론 및 요약
고혈압 약은 단순한 혈압 강하뿐만 아니라 심뇌혈관 질환 예방을 목표로 합니다. ACEi, ARB, CCB, 티아지드 이뇨제가 1차 약물로 권장되며, 조합 요법을 통해 혈압 조절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정리하면:
- 고혈압 1차 치료제: ACEi, ARB, CCB, 티아지드 이뇨제
- 초기 병용 요법: ACEi/ARB + CCB or 이뇨제
- 3제 요법: ACEi/ARB + CCB + 이뇨제
- 4제 요법(저항성 고혈압): 추가로 스피로놀락톤 고려
최신 가이드라인에서는 단일정제 복합제(SPC)를 활용해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것이 강조됩니다. 환자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며, 부작용과 금기사항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고혈압은 꾸준한 관리가 필수인 질환이므로, 올바른 약물 선택과 생활습관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4.주요 참고 문헌 및 링크 목록
1. Healthline
2. NCBI Bookshelf - StatPea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