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페니라민정 효과와 부작용: 임산부와 아기 복용가능?

by 도봉도봉 2024. 3. 24.
반응형

유한양행의 페니라민정과 페니라민주사는 한번쯤은 들어 봐서 익숙하지만 , 어떤 의약품인지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대충 조사해보니 임산부와 아기가 사용할 정도로 안전하다는 글이 있어서, 부작용, 효과, 가격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어 져서 조사했습니다.

페니라민정 안내 이미지
페니라민정

 
 
목차
1. 페니라민정 제품정보
2. 페니라민정 성분 특징 및 함량
3. 페니라민정 약품 효능효과
4. 페니라민정 용법용량
5. 페니라민정 주의사항 및 부작용
6. 페니라민정 임산부 사용 가능한가.?
7. 페니라민정 가격 및  동일성분 약품 

 


1. 페니라민정 제품정보

페니라민정은 알레르기 증상 완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입니다. 두드러기, 가려움증, 알레르기 비염, 혈관 부종 등 다양한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치료에 사용됩니다. 

  • 제품명 : 페니라민정
  • 제조사 : 유한양행
  • 성분명 : Chlorpheniramine Maleate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2. 페니라민정 성분 특징 및 함량

1정 중 Chlorpheniramine Maleate 2mg

  • 성분특징: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Chlorpheniramine Maleate)은 주로 알레르기 질환 및 코감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서,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제의 일종입니다.
  • 개발배경과 역사:
    클로르페니라민은 1940년대에 처음으로 항히스타민 약물로 개발되었습니다.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은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에 발견되었습니다. 이 약물은 미국의 제약 회사인 Merck & Co. 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머크앤코는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세계적인 제약 기업으로, 다양한 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은 이 회사의 연구 및 개발 팀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알레르기 및 감기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로 상용화되었습니다. 머크앤코는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을 통해 다양한 의약품을 선보이며 환자들에게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알레르기 질환 및 감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이후 수년 동안 다양한 제형과 용도로 발전되었습니다.
  • 작용기전: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은 제 1세대 항히스타민 약물로서 중추 및 주변의 히스타민 H1 수용체에 대한 경쟁적인 안타고니스트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수용체는 주로 혈관 내피세포, 폐기능을 통제하는 비성형 포켓세포, 기관지평활근, 장평활근 및 대뇌 피질의 히스타민 수용체입니다.
    클로르페니라민은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의 활성화를 억제합니다. 이는 히스타민에 의해 유발되는 혈관확장, 혈관투과성의 증가, 기관지평활근의 수축, 염증반응 및 가려움증과 같은 증상을 줄여줍니다.

    또한, 클로르페니라민은 중추신경계(CNS)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중추 신경계에서는 히스타민이 수면-각성 주기와 관련된 수면-각성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클로르페니라민은 중추 신경계의 히스타민 수용체에 대한 억제 작용을 통해 수면 촉진 및 각성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 메커니즘으로 인해 클로르페니라민은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피부염 및 두드러기와 같은 알레르기 증상 및 가려움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3.페니라민정 약품 효능효과

허가사항 중 효능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초열(꽃가루 알레르기비염(코염))
  2. 두드러기, 가려움성 피부질환(습진ㆍ피부염, 피부가려움증, 약물발진)
  3. 알레르기 비염(코염), 혈관운동성 코염, 코감기에 의한 재채기·콧물·기침
  4. 혈관운동성 부기

항히스타민제의 상병별 처방 순위는? 

 
아래 표는 항히스타민제의 23년 10월 한 달 기준 데이터입니다. 살펴보니 주로 호흡기 관련 질병에 많이 처방이 되었네요

순위상병명수량금액
1급성 기관지염57,768,8661,754,773,529
2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29,997,9211,669,848,244
3급성 부비동염11,905,149404,220,676
4급성 비인두염[감기]11,153,056346,593,643
5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감염10,432,767411,408,346
6급성 인두염9,489,626309,672,518
7급성 편도염7,394,297277,719,326
8화농성 및 상세불명의 중이염4,594,87898,105,085
9두드러기4,328,797557,470,947
10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4,132,373522,149,619

 

항히스타민제 질병별 처방 비율 이미지
항히스타민제 질병별 처방 비율

 

4.페니라민정 용법용량

  • 페니라민정의 용법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인 :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으로서 1회 2 〜 6 mg 1일 2 〜 4회 경구투여한다.
    1일 24 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 페니라민정의 복약정보입니다.

    ⓐ 주의: 졸음 가능성으로 운전 및 위험한 기계조작주의
    ⓑ 경고: 전문가와 상의 없이 다른 감기약과 병용 금지
    ⓒ 권고: 이 약 복용 기간 동안은 가능한 금주 권장
    ⓓ 안내: 녹내장 환자나 해당 병력이 있는 경우 전문가에게 사전 안내 요청
    ⓔ 조언: 입안 건조 시 얼음조각이나 무가당 껌, 사탕 섭취 권장
페니라민정 복약정보 안내 이미지
페니라민정 복약정보

 
 

5. 페니라민정 주의사항 및 부작용

  1. 금기 사항:
    약물에 과민반응 병력이 있는 환자
    녹내장 환자
    하부요로폐색성 질환 환자
    미숙아/신생아
    MAO 억제제 투여 중인 환자
  2. 복용 중 주의사항:
    졸음 유발 가능성으로 위험한 기계조작 피하기
  3. 의사와 상의 후 복용:
    3세 미만 유아
    임부/수유부
    고령자/안내압 상승 환자
    갑상샘기능항진 환자 등
  4. 즉각 중지 및 상의 사항:
    쇼크 현상, 경련, 중독 증상 등 발생 시
    정신신경계/소화기계/순환기계 등 이상 발생 시
  5. 기타 주의 사항:
    알코올/중추신경억제제 함께 복용 시 졸음 주의
    클로르페니라민과 페니토인 독성 가능성 주의
    클로르페니라민의 치사량 및 증상 유의
    주사부위 자극, 작열감 발생 시 주의
  6. 저장상의 주의사항: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원래 용기에 보관하여 오용 및 품질 저하 방지

페니라민정 부작용 정보

6. 페니라민정 임산부 사용 가능한가.?

주의사항을 알아보니 정확하게 임산부가 사용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의사와 상의하라는 설명만 있었습니다. 그래서 국내외 자료 조사를 해봤습니다.
 
현재 해외의 의약품 안전성 임상에서는 미국 FDA와 호주 TGA에서 개발한 태아 위험도 등급을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FDA의 Pregnancy Category와 TGA의 임신 중 의약품 처방지침은 임부의 약물 투여에 대한 상담, 처방, 조제과정에 적용됩니다. 이러한 등급 시스템은 임신 중 의약품 사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동양권에서는 이러한 체계적인 지침이 아직 미비한 상황이며, 특히 일본에서는 몇몇 병원과 의사회에서만 실천적인 임신과 약물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FDA의 태아 위험도 분류 기준표를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 미국 FDA  태아위험도 분류기준 
    1979년 미국 FDA에 의해 시작된 FDA 임신 분류는 약물의 태아 위험도를 구분하는 시스템이다.
    이 분류는 G.G. Briggs에 의해 처음 구상되고 약물에 대한 정보를 연구하였다. FDA 임신 분류는 A, B, C, D, X로 구성되어 있다. A는 태아에게 위험이 없는 것으로 입증된 것이고, X는 매우 큰 위험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것이다. B, C, D는 임상자료를 기반으로 상대적인 이득과 위험을 판단하는데, 일부 약물은 임신 시기나 기간에 따라 위험도가 변할 수 있다. 이 분류는 임상자료의 정확성에 따라 위험성을 예측하지만, 알파벳으로 분류되어 있어 위험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 또한, 분류는 임상적으로 애매한 상황을 다루기 어렵고, 약물 노출 시기를 고려하지 않는 등의 한계가 있다. FDA 임신 분류는 치료적 이득과 위험을 비교하여 약물을 분류하므로, 임신 초기에 우발적으로 약물을 복용할 경우를 다루는 지침은 제공되지 않는다.

  • 미국 FDA 태아 위험도 분류 
    A: 임신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적절하고 잘 통제된 연구에서는 태아 이상의 위험이 증가하지 않음.
    B: 동물 연구는 태아에게 해를 끼치지 않았으나, 임신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적절하고 잘 통제된 연구는 없거나 부작용이 있음.
    C: 동물 연구는 부작용을 보였으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한 적절하고 잘 통제된 연구가 없음.
    D: 임신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태아에 대한 위험이 입증되었으나, 치료의 이점이 잠재적인 위험보다 클 수 있음.
    X: 동물이나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태아의 이상에 대한 긍정적인 증거가 입증되었으며, 임신 중이거나 임신 가능한 여성에게는 제품 사용이 금지됨.

FDA 임신중 사용 하기 위한 의약품 분류 기준 이미지
FDA 임신중 사용 하기 위한 의약품 분류 기준

 

  • 페니라민 성분의 FDA 분류표를 찾아보니 B 등급으로 확인 됐습니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애 대한 FDA임신 분류표
1세대 항히스타민제에 대한 FDA임신 분류표

 

  • 그래서 B등급이면 임산부가 복용해도 되는 건가?
    아래 내용은 미국의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사이트의 내용을 참고로 하여 요약정리 한 글입니다.
    해당 내용을 살펴보면 복용해야 하는 임부에게 FDA의 임부등급 A 또는 안전한 그룹으로 허가를 받지 않았다는 사실을 설명해야 하고 충분히 의사와의 상담을 하고 복용 결정을 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원문 확인 하기

A review of antihistamines used during pregnancy

Antihistamin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drugs that are used extensively in various dermatological and nondermatological conditions. The use of H-1-antihistamines during pregnancy has been very controversial due to possible teratogenic effects of these ..

www.ncbi.nlm.nih.gov

 


임신 중 소양증은 태아에게 직접적인 위험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임신부에게는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소양증의 치료는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항히스타민제의 사용 시점과 선택은 태아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의사가 결정해야 합니다.
권장 사항과 연구에 따르면 임신 중 1세대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이 선호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임신 중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고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의 효과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미국 산부인과 학회와 미국 알레르기, 천식 및 면역학 학회는부가 선택하는 항히스타민제로 클로르페니라민과 트리펠레나 민을 추천합니다. 그러나 반응이 없는 환자에게는 다른 약물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임신 중 세티리진과 로라타딘의 사용에 대한 증거는 충분하지 않으며, 항히스타민제가 필요한 경우 클로르페니라민, 트리펠레나민 또는 하이드록시진을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기 전에 소양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임신 중에 약물을 복용할 때의 위험과 이점을 의사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7. 페니라민정 가격 및  동일성분 약품 

현재 국내 유통 허가를 받은 제품 중 페니라민정과 동일성분으로 된 경구제는 없습니다.
주사제는 있는데 , 경구제는 유한양행의 페니라민정이 단독 품목 이내요.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페니라민정 보험 가격 : 1정 당 15원 

8.맺음말

와 오늘은 평소보다 조금더 풍부한 내용으로 조사를 한것 같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전문의약품이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과 진료가 필요한 의약품임을 강조합니다. 약물의 태아 위험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처방 및 투여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의사의 전문적인 판단과 지도 아래 이루어져야 하는걸 강조하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