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파상풍 증상과 진단 , 역사와 치료까지 알아보자

by 도봉도봉 2024. 3. 21.
반응형

얼마전 포스팅으로 파상풍 주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당연히 파상풍에 대한 내용이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파상풍의 역사부터 진단,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파상풍의 증상과 특징에 대한 내용 안내 이미지
파상풍의 증상과 특징에 대한 내용 안내

목차

1.파상풍의 역사

2.파상풍 증상의 특징 

3.파상풍 증상이 발현되는 시기

4.파상풍의 진단은?

5.파상풍 치료 주사

6.파상풍의 국내 및 해외 현황

 

 

 

 

 

 


1.파상풍의 역사

파상풍은 고대부터 존재했던 질병으로, 그 역사는 오래되었습니다. 그러나 파상풍이 식별되고 기록된 시기는 상대적으로 최근인 19세기 중반입니다. 이전에도 파상풍의 증상은 기록되었지만, 이 질병이 별개의 질병으로 취급되기보다는 다른 질병과 혼동되었거나 그 원인이 이해되지 않았던 경우가 많았습니다.

파상풍이 정식으로 처음 식별된 시기는 1884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독일의 박사인 Arthur Nicolaier가 소의 말미에 주사한 토양에서 Clostridium tetani 박테리아를 발견하고 이를 파상풍의 원인으로 연관시킨 연구를 발표한 시기입니다. 그 후, 1889년에는 Jules-François Joubert와 Constantin Levaditi가 동일한 박테리아를 인간의 신경 조직에서 분리하고 파상풍의 원인으로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초기 연구를 통해 파상풍의 원인과 관련된 기초적인 이해가 확립되었고, 이후로 파상풍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상풍은 과거에 비해 더 잘 이해되고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파상풍은 1884년 처음 식별 했고 그 후에 원인을 파악하여 예방과 치료 연구를 했다. 이 정도로 요약 할 수 있겠내요. 

2.파상풍 증상의 특징 

파상풍 증상을 살펴보니 주로 근육이 경직되는 증상이 나타나내요. 아 이건 잠을 잘못잤을때 나타나는 증상이랑 너무 비슷한대요? 아래 내용 잘 살펴보시고 알고있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 근육 경직: 파상풍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근육 경직입니다. 특히 목, 턱, 얼굴 근육에서 시작하여 전신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 삼키기 힘든 증상: 목 근육의 경직으로 인해 음식이나 물을 삼키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 입을 벌리기 힘든 증상: 턱 근육의 경직으로 인해 입을 벌리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후궁반장: 목과 등 근육이 경직되어 몸이 활처럼 뒤로 젖혀지는 증상입니다.
  • 전신 경련: 심각한 경우 전신 경련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3.파상풍 증상이 발현되는 시기

생각보다 잠복기가 길어서 놀랐습니다. 21일정도까지도 걸릴 수 있다 하니 ,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으로 가야겠내요.

  • 잠복기: 파상풍균에 감염된 후 증상이 나타나는까지 3일에서 21일 정도 소요됩니다.
  • 초기 증상: 잠복기가 끝난 후, 두통, 발열,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전형적인 증상: 초기 증상이 나타난 후 24시간 이내에 근육 경직, 삼키기 힘든 증상, 입을 벌리기 힘든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4.파상풍의 진단은?

※아래 진단 내용의 출처는 질병관리청 국가정보포털의 내용 중 일부 입니다.

파상풍의 진단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 생각엔 잠복기도 3일에서 21일 사이로 길고 진단 받기까지가 꽤 시간이 걸리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파상풍 백신을 안맞았다면 바로 병원에서 치료 주사를 맞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 파상풍은 임상 소견을 통해 주로 진단
  • 실험실 진단은 흔하지 않지만 균 분리 및 독소 생성 능력 확인도 고려.
  • 역학적 판단도 중요하며, 흙 등으로 오염된 상처나 국소 피부감염 여부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상처에서 파상풍균이 발견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음성
  • 항독소 항체 검출로도 진단 가능하지만 회복기에는 검출되지 않습니다.
  • 두부 파상풍은 안면마비나 삼차신경염과 구별되어야 하며, 뇌신경 침범 소견과 개구불능, 후두부 경직이 주요 증상입니다.
  • 다양한 감염증과 중독증이 비슷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5.파상풍 치료 주사

파상풍 치료 주사인 하이퍼테트 주사의 내용입니다 아래 내용을 함께 참고 하시면 됩니다.


 

 

하이퍼테트주사 파상풍 주사야? 가격,효능,부작용 정보

못이나 바닥에 있는 이물질에 상처를 입으면 파상풍 예방 주사를 맞았냐고? 주위에서 먼저 묻고는 합니다. 흔히들 알고있는 파상풍 주사의 한 종류 하이퍼테트주사에 대한 가격, 효능, 부작용에

say-ok.tistory.com

 

6.파상풍의 국내 및 해외 현황

세계 현황:

  • 파상풍은 전 세계적으로 파상풍균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 주로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주로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산모로부터 신생아에게 전염된다.
  • 신생아 파상풍은 전 세계적으로 어린이 사망 원인 중 2위를 차지하며,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서 매년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다.

국내 현황:

  • 국내에서는 1976년부터 제2군 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신고를 받고 있다.
  • 1980년대에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백신의 접종률이 높아져 신생아 파상풍 발생이 거의 없어졌다.
  • 그러나 1990년대 이후에는 연간 10건 내외의 파상풍 사례가 간헐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 특히, 2017~2019년에는 약 30여 건의 발생이 보고되어 최근에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 이에 따라 소아기 이후에도 추가 접종으로 파상풍에 대한 면역을 유지가 필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