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대장게실: 증상, 원인, 치료 및 예방 그리고 좋은 음식까지

by 도봉도봉 2024. 3. 8.
반응형

저는 태어나서 처음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고 결과지를 확인해 보니 대장게실이 소견이 있었습니다.

대장게실? 처음 듣는 용어에 걱정도 됐고 어디 큰 이상이 아닌지 걱정도 됐었죠.

그래서 저와 같이 걱정하시는 분들을 위해 대장게실의 증상과 원인 예방에 관한 내용을 조사해 봤습니다.


 

대장게실 안내 이미지
대장게실 안내


1. 대장게실이란?

대장 게실은 대장 벽이 약해져 탈출하게 생기는 작은 주머니 모양의 돌출부입니다. 흔히 "대장 게실증"이라고 불리며, 5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흔히 발생합니다.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염증이 생기면 복통, 발열, 변비 또는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대장게실 진단 및 증상

대장내시경 결과지<대장게실염 소견을 포함>
대장내시경 결과지<대장게실염 소견>

위 이미지는 저의 대장 내시경 소견입니다. 2023년 1월이라 이제 1년이 좀 넘었네요.

저는 평소에 장이 예민하다 생각을 해서 설사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았습니다. 그 외 복통증상이나 발열 같은 경우는 없었습니다. 아래 대장 게실 증상을 참고하시죠

 

A. 대장 게실 증상

  • 복통: 하복부 또는 좌측 하복부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 발열: 염증이 생기면 38°C 이상의 발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변비: 대장 운동이 느려져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설사: 염증이 생기면 설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혈변: 심각한 경우 혈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B. 대장게실 진단방법

저도 대장 내시경에서 발견했습니다. 바로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니 가장 정확하고 쉽지 않을까요?

  • 대장 내시경 검사: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입니다.
  • CT 스캔: 염증이 있는 게실이나 합병증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 혈액 검사: 염증이 있는 경우 염증 수치가 높아집니다.

3. 대장게실 원인은??

음 저는 생각해보면 육류 위주의 식사를 좋아했고, 체중도 지금 비만 쪽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담배나 운동 부족은 아닌 것 같고, 가족력도 일부 작용 하는 것 같았습니다. 

 

  • 저섬유 식단: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하면 대변량이 감소하여 대장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고 게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비만: 비만은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켜 게실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운동 부족: 운동 부족은 대장 운동을 느리게 만들고 게실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흡연: 흡연은 대장 벽을 약화시키고 게실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가족력: 가족 중에 대장 게실증 환자가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증가합니다

4. 대장게실 치료방법은?

저도 무증상에 속하는 게실증으로 특별한 치료 보다 야채 많이 먹고 운동 열심히 하고 체중 관리하며 

지속적이 관찰을 하자고 했습니다. 

  • 무증상 게실증: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개선만으로도 충분합니다.
  • 증상이 있는 게실증: 항생제, 진통제, 스파스몰리틱 등의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 합병증: 게실이 염증이 생기거나 천공되면 수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대장게실 예방 방법은?

장 건강에는 역시 먹는 것 관리를 잘해야 된다고 합니다.

물과 야채를 잘 챙겨 먹고 운동 열심히 해야 된다!!라고 말씀 하시더라고요

  • 식이섬유 섭취 증가: 과일, 채소, 통곡물 등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 수분 섭취 증가: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마셔 대변을 부드럽게 유지합니다.
  •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대장 운동을 활발하게 만들고 게실 발생 위험을 낮춥니다.
  • 체중 관리: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여 복강 내 압력을 감소시킵니다.
  • 금연: 흡연은 대장 벽을 약화시키므로 금연합니다.

6.대장게실에 좋은 음식은?

대장게실에 좋은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식이섬유는 대변량을 늘리고 부드럽게 만들어 대장 운동을 활발하게 만들고 게실 발생 위험을 낮춥니다. 과일, 채소, 통곡물 등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 과일: 배, 사과, 블루베리, 바나나, 키위 등
    • 채소: 브로콜리, 시금치, 케일, 아스파라거스, 잎채소 등
    • 통곡물: 현미, 귀리, 보리, 통밀빵 등
  • 수분: 충분한 수분 섭취는 대변을 부드럽게 유지하고 변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마셔야 합니다.
  • 발효 식품: 요구르트, 김치, 된장찌개 등 발효 식품은 유익한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어 장 건강에 좋습니다.
  • 기름기 적은 단백질: 닭고기, 생선, 두부 등 기름기 적은 단백질은 소화가 잘 되고 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대장게실에 좋은 야채와 과일
대장게실에 좋은 야채와 과일

 

대장 게실에 좋지 않은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기방: 고기방은 소화가 느리고 지방 함량이 높아 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기름진 음식: 기름진 음식은 소화가 느리고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맵고 자극적인 음식: 맵고 자극적인 음식은 장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 가공식품: 가공식품은 식이섬유 함량이 낮고 나트륨 함량이 높아 장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 술과 카페인: 술과 카페인은 대장 운동을 활발하게 만들고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대장게실 식단의 예시입니다.

 

아침: 현미죽, 닭가슴살 샐러드, 요거트

점심: 통밀빵 샌드위치 (채소, 닭가슴살), 녹말 채소 샐러드

저녁: 잡곡밥, 두부찌개, 찐 생선, 시금치 나물

간식: 과일, 견과류, 발효 식품

주의: 위에 언급된 정보는 일반적인 정보이며, 개인의 증상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장 게실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식단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결론

대장게실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염증이 생기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니. 겁이 많이 납니다.

꼭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식이요법, 생활습관 개선과 지속적인 관찰을 하는 것이 중요할 듯합니다.

저도 잠시 식이와 운동을 놓고 있었는데 다시 열심히 관리해야겠습니다.!!

반응형